본문 바로가기

채움 과 비움 /독서

정재승의 《정재승의 과학콘서트》'통찰력의 총합'


'통찰력의 총합'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중추인
뇌가 복잡하듯, 뇌들의 사회가 만들어내는
현상들 또한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사회학'이라는
하나의 학문으로 탐구하기엔 사회는 너무 복잡하다.

다양한 학문으로 바라보고 탐구해 얻은 '통찰력의 총합'이
아마도 사회의 본질에 좀 더 가까울 텐데, 그러려면
열린 마음으로 학문을 만나고 때로는 융합하고
잡종 되기를 거부해서는 안 된다.

두 학문이
만나는 곳에 '창의적인 눈'이
태어나기 때문이다.


- 정재승의 《정재승의 과학콘서트》 중에서 -


* '통찰력의 총합',
좀 어려운 얘기 같습니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뇌, 사회, 경제, 정치, 종교,
그 모든 것이 결국은 통찰력의 총합의 구조를 띱니다.

어느 것 하나 홀로 있는 것은 없습니다. 성격이 서로 다른
개체와 개체가 만나 수없이 교차되고 융합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것이 재창출되고 진화합니다.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