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움 과 비움 썸네일형 리스트형 김가영의 《책장 속 그 구두는 잘 있는, 가영》백합의 꽃말 백합의 꽃말 꽃에는 각자 자신이 가진 꽃말이 있다. 어떤 꽃은 존경 혹은 애정을, 어떤 꽃은 송이 개수에 따라 꽃말이 바뀌기도 한다. 백합의 꽃말은 순결과 변함없는 사랑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꽃은 그런 가녀린 꽃말을 가지기에는 너무나 많은 풍파를 맞았고,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작은 잎 하나 튀어 내려고 이가 으스러질 만큼 애를 써야만 했다. 내 꽃 사전 릴리아 꽃의 꽃말은 이렇게 적어두고 싶다. 마침내 피워내다. - 김가영의 《책장 속 그 구두는 잘 있는, 가영》 중에서 - * '순결'과 '변함없는 사랑'. 백합의 꽃말이 정말 백합답습니다. 하지만 그 백합이 피어나기까지 너무나 많은 풍파를 참고 견디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온실 속에서 자란 꽃은 화려해도 향기가 없습니다. 척박한 곳에서 모진 비바람과 땡.. 더보기 윤성근의 《헌책방 기담 수집가》 수수께끼도 풀린다 헌책은 한 명 이상의 독자를 거치면서 책 자체의 내용에 읽은 사람의 손길이 더해져 특별한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그러니 헌책방에 쌓인 책들은 새 책방에 곱게 진열된 책보다 훨씬 많은 수수께끼를 담고 있다. - 윤성근의 《헌책방 기담 수집가》 중에서 - * 헌 책을 읽다 보면 다른 사람이 그은 밑줄, 어느 곳은 메모, 또 어느 곳은 오타 교정까지 다양한 흔적들을 만나게 됩니다. 이 사람은 이 구절이 가슴에 와 닿았나 보구나! 아하...그렇군! 얼굴을 본 적은 없지만 마음은 서로 연결된 듯, 문득 만난 오랜 친구처럼 반갑기 그지 없습니다. 못 푼 수수께끼도 풀립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더보기 정목의 《사랑은 사랑으로 돌아옵니다》 '내가 김복순이여?' '내가 김복순이여?' "김복순이? 내가 김복순이여?" 하고 되묻는 스님을 보며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 모두가 박장대소를 했지요. 그 스님뿐 아니라 나 역시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관공서나 병원 같은 곳에서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속명을 부르면 이름이 호명된 줄도 모르고 앉아 있다가 순서를 놓치기도 합니다. 스님들이 많이 모여 사는 절에선 어쩌다 속명으로 우편물이 오면 이름을 몰라 찾아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정목의 《사랑은 사랑으로 돌아옵니다》 중에서 - * 이름은 그 사람의 정체성을 드러냅니다. 이름만 듣고도 그가 누구인지 압니다. 스님들은 특히 남다릅니다. 속가와 인연을 끊으니 속명도 쓰지 않고, 나이도 출가한 이후의 햇수인 법랍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므로 속가의 이름이 낯설 수밖에 없을 겁니다... 더보기 신순규의 《어둠 속에서 빛나는 것들》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완전히 무시하고 살 수는 없으리라. 하지만 내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로 인해 너무도 자주 감정이 요동친다면, 내가 사랑하고 보호해야 하는 이들에게까지 피해를 주는 언행이 내게서 나올 수 있다. 영혼까지 깨끗하게 해 주는 음악을 더욱 자주 들으면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이겨 내야지. 그게 뉴스에 흔들리지 않기 위해 내가 내린 현실적인 처방이다. - 신순규의 《어둠 속에서 빛나는 것들》 중에서 - * 오늘도 수많은 뉴스가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공기를 마시지 않고 살 수 없는 것처럼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를 알려주는 뉴스를 떠나서는 사회생활을 할 수가 없습니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충격적인 소식들에 마음이 추락하고 언행마저 거칠어진다.. 더보기 박영신의 《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다시 태어나는 날 다시 태어나는 날 모든 날이 생일과 같아 1년 365일이 생일 매일매일 새로 태어나는 삶 모든 날이 새해 아침과 같아 1년 365일이 새해 아침 매일매일 새날이 시작되는 그런 새 사람으로 태어나고 싶은 날. - 박영신의 《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 중에서 - * 2023년. 참으로 다사다난했습니다. 때론 낙담하고 때론 절망하면서도 꿈과 희망을 잃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습니다. 오늘로 2024년 새해 첫날을 맞습니다. 작년보다 올해는 더 좋아질 수 있을까? 어제보다 오늘, 오늘보다 내일 더 좋은 꿈을 꿀 수 있을까? 2024년 올해는 매일매일, 하루하루가 새롭게 태어나 더 나은 삶, 더 좋은 꿈을 꾸는 한해가 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책 속으로 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 그.. 더보기 크리스텔 프티콜랭의 《나는 왜 이렇게 피곤하게 살까》 친밀한 사이 친밀한 사이 친밀한 사이가 되려면 그럴 만한 자격이 있어야 한다. 친밀함이란 멋진 극장에 오페라 공연을 보러 가는 것과 같다. 특별하게 차려입어야 귀한 시간이 더욱 특별해진다. 친밀함을 공유하는 관계는 일반적 기준에서 벗어나 있어야 한다. 상대가 나를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대한다면 어떻게 내가 그 사람과 친밀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 - 크리스텔 프티콜랭의 《나는 왜 이렇게 피곤하게 살까》 중에서 - * 친밀한 사이는 가슴이 가까운 사이입니다. 머리로 하는 논리와 분석과 평가가 아닌 따스한 가슴으로 소통을 하는 사이입니다. '~~이기 때문에' 친밀한 것이 아니고, '~~임에도 불구하고' 친밀한 사이입니다. 물질의 차원만이 아닌, 영과 혼이 통하는 사이입니다. 이런 사람이 한 사람 있다면 인생길이 결코 .. 더보기 -갑상선의 비극-과잉진료의 대표-소금은 생명과 직결되어 있기에 몸이 얼마나 필요한지 알려주는 것이다. 요오드 ,셀레늄과 구리인데 이 들은 커플이다 -갑상선의 비극-과잉진료의 대표- 예전에는 갑상선이 어디 붙어 있는 지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는데 현대에 와서는 갑상선암을 비롯한 갑상선기능저하와 갑상선기능항진 등 많은 사람들이 갑상선질환으로 고생한다. 목 앞부분 중앙에 나비 모양으로 위치한 갑상선은 대표적이고 중요한 내분비기관이다. 갑상선의 가장 중요한 역활중의 하나가 인체의 대사과정을 촉진하여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히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호르몬은 특정 신체부위에 기능하는 것이 보통인데 갑상선호르몬은 몸 전체에 작용한다.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해 주고 태아및 신생아의 뇌와 뼈의 성장발육을 촉진시키는 역활도 한다. 갑상선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호르몬의 분비가 많아지거나 부족해지기도 한다. 갑상선호르몬 분비가 많아지면 갑상선기능.. 더보기 데이비드 호킨스의 《데이비드 호킨스의 지혜》손바닥으로 해 가리기 손바닥으로 해 가리기 진실이 신비한 것은 논리를 넘어서 있기 때문입니다. 진실은 이성이나 정신으로 다룰 수 없습니다. 영적 진실은 방해되는 것이 제거되면 스스로 드러납니다. 증거에 기반해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증명될 수는 없습니다. 하늘에서 구름을 제거하면 해가 빛납니다. 이게 다입니다. 구름 제거는 해를 빛나게 만드는 원인이 아닙니다. - 데이비드 호킨스의 《데이비드 호킨스의 지혜》 중에서 - * 해를 손바닥으로 가릴 수 없습니다. 구름으로도 끝내 가릴 수 없습니다. 구름으로 한때 가릴 수는 있지만 일시적일 뿐입니다. 눈앞의 손바닥을 치우거나 구름이 걷어지면 가려졌던 해는 다시 빛납니다. 진실, 진리도 그와 같습니다. 논리나 가설, 이성이나 변증법들로 가릴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그저 해를 가리는 손바.. 더보기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