쉰다는 것
쉰다는 것은
서로의 아픔과 통증에 공감하면서, 그 아픔과 통증을 해소하기 위해 함께 협력하는 상태이기도 하다. 우정, 사랑, 연대, 환대와 같은 사회적 관계의 핵심은 바로 이 '공감', 그리고 저 사람의 아픔과 기쁨은 곧 나의 아픔과 기쁨이라는 감정의 교류를 통한 공동의 행동양식을 마련하는 데 있다. 그래서 쉼은 삶을 향한 의지를 함께 만들고 즐거움을 함께 누리는 공생공락 (共生共樂,conviviality)을 포함한다. - 이승원의《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중에서 - * 혼자 쉬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함께 쉬는 것은 더 좋습니다. 서로 공감하고 공감받는다는 것은 커다란 위로입니다. 그 위로 속에서 비로소 온전히 쉴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친구,연인 중에 그런 이가 있다면 큰 축복입니다. 이런 사람들과 함께 쉬는 것은 극심한 피로를 털어내고 공생공락을 안겨줍니다. 나도 살고 남도 사는 것입니다.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수의《내가 좋아하는 것들 명상》명상 등불 (0) | 2023.01.07 |
---|---|
천영희의《내 아이의 말 습관》혼자 잘났다고 생각하는 아이 (0) | 2023.01.06 |
재커리 시거의《어떤 고독은 외롭지 않다》튼튼한 사람, 힘없는 사람 (0) | 2023.01.04 |
남설희의《오늘도 짓는 생활》버섯이 되자 (0) | 2023.01.03 |
성지연의《어른의 인생 수업》새로운 도약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