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생존 경쟁 저마다 자기 세대가
어느 세대와도 비교할 수 없는 생존 경쟁을 했고 거기에서 살아남았다고 믿는다. 누구나 자신이 진 십자가를 가장 가혹하게 느끼는 법이다. 지금의 청년 세대 역시 그렇다. 성장이 정체된 한국 사회에서 취업과 생존을 위한 가혹한 경쟁을 해온 그들은 거기에서 승리하든 패배하든 어떤 보상 심리를 간직하게 된다. - 김민섭의《경계인의 시선》중에서 - * 살아가노라면 생존 경쟁은 피할 수 없습니다. 남보다 앞서야 이기고, 이겨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믿고 질주합니다. 무한대 가혹한 경쟁은 사람의 기본 인성을 흔들고 세상을 더욱 황폐하게 만듭니다. 그런 세상에 청년을 내모는 것은 모두에게 불행입니다. 함께 잘 되는 세상, 남이 잘 돼야 나도 잘 되는 세상의 주인공이 되게 해야 합니다. (2020년 7월16일자 앙코르메일)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송희의《길 위에서, 우리는 서로에게 깃든다》꿈같은 일이 벌어졌다 (0) | 2024.07.18 |
---|---|
베셀 반 데어 콜크의《몸은 기억한다》 정신적 외상을 입은 사람 (0) | 2024.07.17 |
마르쿠스 베른센의《삶을 위한 수업》 (1) | 2024.07.15 |
트레이시 리트의 《당신은 꽤 괜찮은 사람입니다》 울음과 웃음 (0) | 2024.07.11 |
벤키 라마크리슈난의 《우리는 왜 죽는가》항노화의 모범 답안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