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의 영안(靈眼)
자유는
나 같은 시각장애인들이 특히 갈망하는 꿈일 것이다. 예를 들어, 나 혼자 훌쩍 어디를 가 본 기억이 없다. 어렸을 때는 엄마의 팔을 잡고 다녔고, 집을 떠난 뒤부터는 친구들이나 동료들의 팔을 잡고 다녔다. 결혼 뒤에는 아내의 팔을 잡고 다니고, 아이들의 키가 나와 비슷해진 요즘은 가끔 아이들의 팔을 잡고 다니기도 한다. 내가 혼자 다니는 것은 주중에 매일 하는 출퇴근길뿐이다. - 신순규의 《어둠 속에서 빛나는 것들》 중에서 - * 성숙한 사회는 약자를 중심으로 배려합니다. 비데에 새긴 점자, 신호등의 버튼 장치, 지하철 바닥의 요철 표시, 계단 옆 경사진 통로, 이런 섬세한 배려들이 함께 사는 사회를 만듭니다. 한편으로 시작장애인은 '제3의 눈'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세상을 봅니다. 육안보다는 심안이, 심안보다는 영안이 더 밝기 때문에 세상의 이치를 더 잘 꿰뚫어 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찬순의 《검은 모나리자》 일상의 안부 인사조차 겁난다 (0) | 2023.07.05 |
---|---|
크리스토퍼 필립스의 《소크라테스 카페》 배움은 늙지 않는다 (0) | 2023.07.04 |
이주아의 《심력》 오감 너머의 영감 (0) | 2023.06.28 |
임영주의 《이쁘게 관계 맺는 당신이 좋다》한 수 아래 (0) | 2023.06.27 |
김혜령의《불안이라는 위안》아침 건강관리 기술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