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개무량 청예단(현 푸른나무재단)의
설립 초기와 현재를 비교해보면 감개가 무량하다. 1995년 비전문가 5명으로 시작했고, 지금은 900명이 함께 일한다. 상담치유, 예방교육, 사회변화에 핵심가치를 둔 100여 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건장한 청소년단체로 성장했다. 전문성도 크게 향상되었다. 단순한 학교폭력 피해상담을 넘어서 고난도의 화해중재 상담은 이미 우리 단체의 대표 활동이 되었고, 각종 교육 프로그램, 나눔과 장학사업, 연구 및 출판 사업, 국제활동 등 우리의 전문성은 물론 활동 범위와 깊이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성장했다. - 김종기의《아버지의 이름으로》중에서 - * 우리나라에 많은 민간재단이 있습니다. 그중에 푸른나무재단은 가장 신뢰받는 곳의 하나입니다. 그것은 '참척'에서 시작했습니다. 학교폭력 때문에 극단의 선택을 한 아들에 망연자실한 한 아버지가 재단이 국민의 호응 속에 잘 성장한 것을 보며 감개무량해 하는 그 마음을 저는 누구보다도 공감합니다. 모든 감개무량 속에는 형언할 수 없는 아픔과 눈물이 있고, 그보다 더 많은 땀과 기도가 있습니다.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민의《아주 오래된 노래》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다 (1) | 2022.09.28 |
---|---|
오혜숙의《100세 시대의 새로운 건강법》실컷 먹고 아프든지, 덜먹고 건강하든지 (1) | 2022.09.27 |
정영욱의《잘했고 잘하고 있고 잘 될 것이다》나를 찾아라 (0) | 2022.09.26 |
쉬하이오의《애쓰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어요》태생적 상처 (1) | 2022.09.23 |
김훈의《하얼빈》똥 냄새에 질겁을 했다 (0)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