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번기 두 달은
삶이 바뀌지 않고
글도 바뀌지 않는다. 익숙한 글감을 쓰면서 늙어가지 않고, 내가 좋아하며 알고 싶은 세계로 삶을 옮긴 것이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파종부터 탈곡까지 논농사를 지었다. 수확한 벼 품종은 630종이다. 텃밭과 정원을 가꾸는 것도 만만치 않았다. 농번기 두 달은 집필을 멈추고 들녘으로 향했다. - 김탁환의《섬진강 일기》중에서 - * 농사꾼이 농번기를 놓치면 그해 농사는 보기 좋게 망치고 맙니다. 농번기 두 달은 모든 일을 제쳐놓고 들녘에서 살아야 합니다. 날씨를 살펴 비 내릴 때는 논두렁 물꼬를 열고, 비가 개면 얼른 물꼬를 막아야 합니다. 그 모든 과정에서, 글쟁이는 수많은 글감을 얻게 됩니다. 농번기에 일을 열심히 한 사람만이 더욱 풍요로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지수의《아무튼, 하루키》여행을 떠나는 이유 (0) | 2022.08.06 |
---|---|
정수근의《팬데믹 브레인》사랑하는 연인의 사진 (0) | 2022.08.04 |
이종욱의《노후맑음》 (0) | 2022.08.02 |
루쉰의《고향》희망이란 (0) | 2022.08.01 |
류하윤, 최현우의《작고 단순한 삶에 진심입니다》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