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디 더 해 볼 걸 그랬다
담담히 보내 주면
이별이 덜 아플 줄 알았다. 마음은 덜 시끄럽고 기분은 덜 더러울 줄 알았다. 이별 앞에서 울고불고하는 나 자신이 싫었었다. 어떻게든 남은 인연의 끈을 붙잡아 보려는 노력에 지쳤었다. 울어도 보고 떼를 써 봐도 상대들은 돌아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러지 않기로 했다. 구질구질한 이별을 하지 않기로 했다. 그래서 당신은 쉽게 보내줬다. 헤어지자는 말에 당신의 의견을 존중해 주는 척 "그래"라고 말하며 눈물을 삼켰다. 쉽게 보냈다. 겉으로는 그랬다. 그런데도 마음은 시끄러웠다. 그런데도 기분은 더러웠다. - 차재이의《새벽은 이별에게 가혹하고》중에서 - ![]() * 이별의 방식에 정답은 없나 봅니다. 쿨한 척이고 뭐고 어차피 끝나는 마당에 마음에 담아 둔 못다 한 말이라도 전하는 게 맞나 봅니다. 이렇게 응어리가 남아 털어내기 힘들 거면, 덤덤히 보내 줘도 아플 거면, 아직도 "좋아한다" 말 한마디 더 해볼 걸 그랬습니다.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샘 혼의 《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 누군가에 화가 났다면 (0) | 2022.02.15 |
---|---|
다미 샤르프의 《당신의 어린 시절이 울고 있다》절차적 기억 (0) | 2022.02.14 |
윤민의《센과 치히로의 신곡》명예로운 이름 (0) | 2022.02.11 |
전후석의 《당신의 수식어, 더 큰 세상을 위한 디아스포라 이야기》쿠바의 '영웅', 헤로니모 임 (0) | 2022.02.10 |
강병인의《나의 독립》유관순 열사의 절규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