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밭농사

[스크랩] 부부금슬을 좋게하는 자귀나무(합환피)

 

  
     
 

봄꽃이 지기 무섭게 기다렸다는 듯이 분홍 꽃을 만발하여 관심을 끄는 나무가 있습니다.
초여름, 주변의 초록사이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이 나무가 바로 자귀나무입니다. 붉은 계열의 색깔이야 뜨거움을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자귀나무는 깊은 산속보다는 도심의 공원, 강변도로나 주택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무이고 모양도 훌륭해서 혹시 외국에서 들여온 나무가 아닌가 싶지만 오랜 세월동안 우리의 선조들과 함께 지내온 이 땅의 나무랍니다. 그 모양새 때문일까?
초록빛 잎새를 무성히 매어 달고 퍼지 듯 사방으로 드리운 가지며 그 끝에 매달린 꽃송이들은 야성의 싱그러움을 주면서도 그 개성미가 아주 멋져요.


■ 신혼부부도 질투할 자귀나무의 금실

식물의 이름은 제 나름대로 사연을 갖고 있는데 자귀나무는 왜 그런 이름을 붙였을까?
옛 은사님은 “혹시 잠자는데 귀신같아서 자귀나무인가?”하셨지만, 자귀나무는 밤이 오면 어김없이 양쪽으로 마주 난 잎을 서로 맞대고 잠을 잔답니다.

두 잎을 마주 닫고 밤을 보내는 이 특성 때문에 자귀나무는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 등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며 옛부터 신혼부부의 창가에 이 나무를 심어 부부의 금실이 좋기를 기원하곤 하였답니다. 재미있는 것은 대부분의 자귀나무 잎과 같은 복엽들은 작은 잎들이 둘씩 마주나고 맨 끝에 한 잎이 남는 것이 보통인데 자귀나무 잎은 짝수여서 잎을 닫을 때면 홀로 남는 잎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합혼수라 불리는 진정한 의미일 것 같습니다.

 
 
■ 콩과 식물의 자귀나무의 인상적인 꽃

자귀나무는 꽃이 유난히 인상적인데요, 소나기가 몰려간 뒤 청명한 하늘에 흰구름을 배경 삼아 나무의 가장 높은 곳에서 피어나는 꽃은 한 가지에 스무개 가량의 꽃이 우산모양으로 모여 한 덩어리를 이룹니다. 윗부분은 분홍, 아래는 흰색인 꽃은 빛을 받아 마치 비단같은 화려함으로 신비를 더합니다. 수꽃과 달리 수수한 암꽃은 미처 터지지 않은 꽃봉오리처럼 봉곳한 망울들을 맺고 있답니다.


잎은 모양도 특이하고 이야기도 많습니다.
먼저 그 모양은 줄기마다 엇갈려 달리는 잎이 깃털모양으로 갈라지고 이 각각에 다시 원줄기를 향해 낫처럼 휜 작은 잎새들이 달리는 모양입니다. 잎의 중앙에 자리 잡아야 할 엽맥은 한쪽으로 치우쳐 잎의 양쪽 크기가 같지 않습니다.



자귀나무는 콩과, 미모사아과에 속하는데 닿기만 하면 움츠려 드는 미모사와는 달리 외부의 기계적인 자극이 아니라 빛이나 온도를 감지해 밤이면 잎을 닫아요. 바람이나 초식동물의 먹이가 되지 않기 위해 잎을 최대로 움츠려 방어 태세를 갖추는 것이죠. 또 영양분을 만들 수 없는 밤에 에너지를 발산하는 잎의 표면적을 되도록 적게 하기 위한 나름의 전략이기도 합니다. 콩과 식물답게 열매는 콩깍지 모양이고 10월이 되면 익는답니다. 모든 나무가 잎을 떨구고 스산한 겨울바람이 불면 이 자귀나무의 긴 열매가 바람에 부딪혀 달가닥거린다고 합니다. 이 소리가 거슬려 여설목(여자의 혀와 같은 나무)이라 불리기도 했답니다.

 
  ■ 쓰임새도 다양한 서민의 나무

예전에 자귀나무는 농사를 짓는 지표가 되기도 했데요. 자귀나무의 마른 가지에서 움이 트기 시작하면 농부들은 이제 늦서리의 우려가 사라졌다며 서둘러 곡식을 파종하고 싱그럽게 커가던 자귀나무에 첫번째 꽃이 필 무렵이면 밭에 팥을 뿌렸답니다. 하나 둘 터뜨린 꽃망울이 어느새 만발하면 농부들은 굽혔던 허리를 펴고 땀을 식히며 그 해 팥농사는 풍년일 것을 미루어 짐작하고 흐뭇한 웃음을 남기기도 했데요. 이러한 자귀나무는 소가 무척 좋아해서 이 나무가 나즈막히 자라고 있으면 소는 어디든지 좇아가는데, 그래서 자귀나무를 소쌀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데요. 농가에서 가장 소중한 소가 좋아하는 나무이고 보면 농부들의 눈에도 곱게 비쳤을 나무인 것입니다.
자귀나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널리 알려진 나무라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뜰에 심으면 미움이 사라진다고 했고 친구의 노여움을 풀기위해 잎을 따서 보내기도 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현명한 아내가 단오날 자귀나무 꽃을 따다 말려 베개 밑에 넣어 두었다가 남편의 마음이 좋지 않을 때면 조금씩 꺼내어 술에 넣어 주곤 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또 서양에서는 이 나무를 비단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니 동서양을 막론하고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는 나무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습니다.

떨어져서 조차 서로 잎을 맞대고 정겹게 노랑으로 물들어가는 자귀나무의 사랑과 말라서조차 그 향기를 잃지 않는 자귀나무 꽃의 한결같음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그대로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합니다. 이제 알고서 만나는 자귀나무의 진한 사랑을 한껏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자료 : 이유미의 우리나무 백 가지 -

 

 

 

 

이용방안

▶목재로서의 가치는 없으나 농촌에서는 잎을 녹비로 이용하고 관상수로서 정원이나 공원에 적당하며 사방용수로 절개지나 도로주변에 식재하면 좋다.
▶수피(樹皮)는 合歡皮(합환피), 화(花) 및 (화뇌)는 合歡花(합환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合歡皮(합환피)
①여름에서 가을에 수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수피에는 saponin,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albizzin과 S-(2-carboxyethyl)-l-systeine 등의 amimo산(酸)이 함유되어 있고 5월 중에 채취한 선명한 잎에는 비타민C 189mg%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解鬱(해울), 和血(화혈), 寧心(영심),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심신불안, 憂鬱不眠(우울불면), 肺癰(폐옹), 癰腫(옹종), 나력, 筋骨折傷(근골절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또는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조합하여 붙인다.
⑵合歡花(합환화)
①6월에 처음 개화하였을 때 채취한 꽃을 합환화라 하고 또 개화하지 않은 봉오리를 채취한 것을 合歡米(합환미)라 하며 지엽(枝葉)을 가려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舒鬱(서울), 理氣(이기), 安神(안신), 活絡(활락)의 효능이 잇다. 鬱結胸悶(울결흉민), 下眠(하면), 健忘(건망), 風火眼疾(풍화안질), 視物不淸(시물불청), 咽痛(인통), 癰腫(옹종), 타박상의 疼痛(동통)을 치료한다. 

풀어서 설명한 이용방법

자귀나무는 껍질을 합환피라 하여 민간과 한방에서 약으로 흔히 쓴다. 자귀나무 껍질은 요통, 타박상, 어혈, 골절통, 근골통 등을 치료하는 훌륭한 약재다.

봄이나 가을철에 껍질을 벗겨 흐르는 물에 5일쯤 담가 두었다가 약으로 쓴다.
물에 담그면 대개 약성이 약해지거나 순해지지만 자귀나무 껍질은 반대로 약성이 더 강해진다.
또 대개의 약초는 그늘에서 말려야 약성이 제대로 보존되지만 자귀나무는 햇볕에 말려야 약성이 살아난다. 자귀나무 껍질은 물에 달여 먹어도 좋고 가루 내어 먹어도 좋다.
가루 내어 먹으면 요통, 타박상 어혈, 기생충증 등에 치료 효과가 높다. 자귀나무는 약성이 순하고 독성이 없으므로 오래 꾸준히 복용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자귀나무 껍질은 종기나 습진, 짓무른 데, 타박상 등 피부병이나 외과질병 치료에도 효력이 있다.
" 껍질을 부드럽게 가루 내어 참기름에 개어서 아픈 부위에 붙이면 신기하게 잘 낫는다.
상처가 곪아서 잘 낫지 않는 데에는 자귀나무 껍질 가루를 뿌린다.
자귀나무 꽃도 약으로 쓴다. 술에 담가서 먹을 수도 있고, 꽃잎을 말려 가루 내어 먹을 수도 있다.
자귀나무 꽃은 기관지염, 천식, 불면증, 임파선염, 폐렴 등의 치료에 효과가 훌륭하다.
말린꽃을 먹을 때에는 물 한 되에 꽃잎 한줌(20그램)을 넣고 물이 반쯤 되게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술로 담글 때에는 자귀나무 꽃잎 분량의 3∼4배쯤의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어두운 곳에 3∼6개월 두었다가 조금씩 따라 마신다. 자귀나무는 산중 수도자들이 즐겨 먹는 약이기도 하다.
정신을 맑게 하고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자귀나무 껍질은 흐르는 물에 5일쯤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 가루 낸 것을 한번에 밥숟갈로 하나씩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먹는다.
오래 복용하면 몸이 나는 듯이 가벼워지고 다리가 무쇠처럼 튼튼해지며 오랫동안 달려도 지치지 않는다. 독성이 없는 약이어서 아무리 오래 먹어도 탈이 나지 않는다.

자귀나무 잎을 태워 고약을 만들면 골절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뼈가 부러지거나 다쳤을 때 자귀나무 잎을 태운 재에 들기름이나 참기름을 섞어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통증도 없이 신통하게 잘 낫는다.
나무나 껍질, 뿌리를 태워서 술에 타서 먹으면 골절, 어혈, 타박상 등에 효과가 크다.
자귀나무 잎을 차로 달여 마시기도 하는데 늘 먹으면 부부 사이의 금실이 좋아져서 이혼을 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
그런 까닭에 이 나무를 애정목(愛情木)이라 부르기도 한다.

출처:산림청 소식外백과사전 에서...

 

 

 

 

 

 

 

 

 

 

 

 

 

 

 

 

 

 

 

 

 

 

 

 

 

 

 

 

 

 

 

 

 

 

 

 

 

 

 

 

 

 

 
출처 : n255225k
글쓴이 : 황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