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학자 주시경('주보따리') 주시경은 35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이런저런 공부를 마칠 수 있었다. 그때는 1910년 불행하게도 나라가 일제에 패망한 해였다. 하지만 그는 절망에 빠지지 않고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기 위한 국어 운동, 국어 연구와 교육을 통한 계몽 운동을 더욱 활발히 전개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그를 두고 사람들은 '주보따리'라고 불렀다. 가방이 없던 시절, 보자기에 책을 싸서 우리말 한글을 가르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마다하지 않고 찾아갔기 때문이다. - 김슬옹의 《길에서 만나는 한글》 중에서 - * 민족정신을 되찾는 길은 그 민족의 혼이 담긴 말과 글을 지키는 것입니다. 주시경 선생님같은 위대한 분들이 계셨기에 우리가 한글이라는 빛나는 문화유산을 잃지 않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말과 글이 혼탁해지고 정체를 알 수 없는 신조어가 난무해, 세대간 소통조차 어려운 오늘날, 주시경님과 그분의 별명인 '주보따리'를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인 다이어의 《웨인 다이어의 인생 수업》 흥행이 잘 되는 연극 (0) | 2024.06.27 |
---|---|
다리우스 포루의 《가장 중요한 생각만 남기는 기술》 (0) | 2024.06.25 |
웨인 다이어의 《웨인 다이어의 인생 수업》남 탓, 날씨 탓 (0) | 2024.06.21 |
김성곤의 《새로운 평화의 길》평화의 길 (0) | 2024.06.20 |
장혜영의 《사랑과 법》 가장 사랑한 '막내딸 용혜'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