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옥상에서 집집마다 걸려있는 빨래를 보면 그 집의 식구들이 연상된다. 오색찬란한 꾸르따부터 아이들의 교복, 가방까지. 어쩌면 너무 소소한 풍경들이 이제 도시에선 보기 힘들어졌다. 마당을 공유하고 함께 음식을 해서 나눠 먹고, 각 집의 빨래를 다 볼 수 있고 누구 집의 숟가락이 몇 개인지까지 알 수 있는 소통이 있는 풍경들 말이다. - 서윤미의《나의 히말라야에게》중에서 - * 빨래를 보면 그 집의 형편이 다 보입니다. 누가 사는지, 넉넉한지 궁핍한지, 부지런한 집인지 게으른 집인지 읽혀집니다. 문화도 보입니다. 히말라야 동네의 빨래는 히말라야 문화를, 티벳 동네의 빨래는 티벳의 문화를 드러냅니다. 속살을 드러냅니다. (2020년 8월 4일자 앙코르메일)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광호의《아이에게 동사형 꿈을 꾸게 하라》 (0) | 2023.08.04 |
---|---|
레이첼 켈리의《내 마음의 균형을 찾아가는 연습》24시간 스트레스 (0) | 2023.08.03 |
루쉰의《고향》희망이란 (0) | 2023.08.01 |
이서윤, 홍주연의《더 해빙》 (0) | 2023.07.31 |
신영길의《기억의 숲을 거닐다》육체적인 회복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