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 천국
우리 아이들의 자신감이나
학습 호기심은 최하위 수준이다. 어떤 학습법도 호기심을 이기지는 못한다. 과도한 학습이 아이들의 호기심을 죽이고 우리의 교육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주범인 것이다. 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초중등 시절의 과도한 학습으로 아이들이 불행하다는 점이다. OECD보고서에 따르면 회원국 27개국 및 비회원국 15개국 중에서 한국 학생들이 몇 해 동안 가장 불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기숙의《지금 당장 교육을 빅딜하라》중에서 - * '호기심 최하위'. 어둡고 부끄러운 자화상입니다. 아이들의 앞날을 생각하면 암울하기까지 합니다. 호기심은 미래를 여는 원동력입니다. 자동차로 치면 연료와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자동차도 연료가 없으면 굴러갈 수 없습니다. 4차산업, 인공지능, 우주탐사, 로봇왕, 대문호, 명상가, 영적 세계도 그 시작은 호기심에서 비롯됩니다. '호기심 최하위'를 '호기심 천국'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우리 아이들의 장래도 밝아집니다. (2017년 12월6일자 앙코르메일)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지현의《바람이 분다. 걸어야겠다》'그런 걸 왜 하니' (0) | 2022.12.21 |
---|---|
유병팔의《125세 건강 장수법》3~4년이 젊어진다 (0) | 2022.12.20 |
박재우의《웃음박제》 (0) | 2022.12.17 |
히라마쓰 요코의《어른의 맛》 (1) | 2022.12.16 |
데이비드 호킨스의《의식 지도 해설》실컷 울어라 (1)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