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성
모든 내부 문제는
암과 같아서 초기에는 드러나지 않고, 구성원들은 그 심각성을 잘 느끼지 못한다. 시스템이 완전히 곪아 복구가 불가능할 때가 되어서야 깨닫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세월호 사태를 두고 마치 우연에 의해 일어난 재해인 양 말했고 이 일을 계기로 뭔가 획기적인 개선이 있을 것처럼 굴었다. 하지만 우리 팀 대부분의 의견은 같았다. '터질 일이 터진 것뿐이다' 그것이 우리가 보는 명확한 현실이었다. - 이국종의《골든아워 2》중에서 - * 가장 위험할 때는 언제인가. 심각성을 느끼지 못할 때입니다. 시스템이 망가지고 곪아 터진 다음에야 심각성을 알아차린다면 그때는 이미 늦습니다. 더 위험한 것은 일이 터진 다음에도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는 것입니다.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한데 시간이 지나면서 흐지부지되다 보니 비슷한 일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암도 초기에 대처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로버트슨의《로마 황제처럼 생각하는 법》아이를 현명하게 키우려면? (0) | 2022.11.07 |
---|---|
박웅현의《문장과 순간》몸으로 읽는다 (0) | 2022.11.05 |
이시형의《걸어가듯 달려가라》'적정 긴장' (1) | 2022.11.03 |
김성호, 류해욱 신부의 연작시집 《햇살 속 그리움 그리고영성》에 실린 시 <고개 숙인 벼들을 바라보며> (1) | 2022.11.02 |
노라 마리 엘러마이어의《나는 괜찮을 줄 알았습니다》최악의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 (1)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