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니얼 골먼, 리처드 데이비드슨의《명상하는 뇌》 | 행복 뇌 회로 |
행복 뇌 회로
타인의 안녕에 대해
애정 어린 관심을 갖게 되면, 놀라운 이득을 보게 된다. 연민심과 관련된 회로뿐 아니라 행복을 위한 뇌 회로가 활기를 띤다. 또한 자애심은 즐거움과 행복을 위한 뇌 회로와 행동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영역인 전전두피질의 연결을 증진한다. 그리고 이 영역들 간의 연결이 더 증가할수록 사람은 더 이타적이 된다. - 대니얼 골먼, 리처드 데이비드슨의《명상하는 뇌》중에서 - * 옆사람이 불안하면 나도 덩달아 불안해집니다. 타인의 안녕이 곧 나의 안녕입니다. 타인의 안녕에 관심을 갖고 애정과 연민을 갖는 순간 자신에게도 안녕과 행복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행복 뇌 회로가 작동돼 저절로 즐거워지고 저절로 행복해집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이타적인 사람이 절로 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 채움 과 비움 > 독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명희의《중년의 심리학》 (0) | 2022.07.09 |
---|---|
게일 콜드웰의《어느날 뒤바뀐 삶, 설명서는 없음》개인적인 절망감 (0) | 2022.07.08 |
(옛 저서 ‘열두 사도의 가르침’에서 )감사제 (0) | 2022.07.06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나이팅게일의 모두의 등불》나이팅게일 선서 (0) | 2022.07.06 |
정수근의《팬데믹 브레인》왜 몸과 마음이 아플까? (0)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