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도

[스크랩] 진지한 기도생활을 하면 필연적으로 어두운 밤을 경험한다.

 

 

 

 

 

 

 

진지한 기도생활을 하면 필연적으로 어두운 밤을 경험한다.

 

 

어두운 시기는 여러 형태로 나타납니다. 먼저 그것은 신앙을 시험하는

모습을 띠는데 예를 들면 ‘내가 믿는 것이 과연 진리인가?’하는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 정도까지 경험한 적은 없지만 이렇게 자문한 적은 있습니다.

‘과연 하느님께서 나를 받아 주실까?'

 

많은 잘못과 부족함과 나약함에도 그분은 나를 받아 주실까? 이렇게 자문해

본 이들이 많을 것입니다. 어쨌든 갖가지 형태를 띠는 우리 자신의 심리적

문제가 하느님의 실재를 멀게 느끼게 하는 그 어두운 밤의 실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이들에게 어두운 밤은 기도의 일부입니다.

 

진지하게 기도생활을 하는 이들은 필연적으로 어두운 밤을 경험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의 삶의 진수가 사랑-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라면

사랑은 신앙이 정화되면서 더욱 깊어지기 때문입니다.

 

신앙은 점점 정화되어 궁극에는 우리의 삶 안에서 하느님 외에는 그 어떤 것도

소중하게 여기지 않아야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께 절대적 신뢰를 갖는

궁극적인 단계-저는 아직 그런 단계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만-에 도달해야만

합니다.”(바실 흄 추기경)

                                            

                                                    「나에게 맞는 기도방법 찾기」에서

 

 

참된 기도가 되기 위해서는 내 존재가 정화되어야 순수 영이신 하느님께

나아갈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십자가의 성 요한은 「어둔 밤」에서 능동적

정화와 수동적 정화에 대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능동적 정화는 감각의 정화와 영혼의 정화로 구분합니다. 진지하게 기도하는

자는 이 능동적 정화를 거쳐 수동적 정화의 단계까지 이르러야 하느님과 일치가

이루어지고 마침내 그리스도를 닮은 변형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예수의 성녀 데레사의「영혼의 성」

 

 

 

 

 

 

Gute Nacht (안녕) 
Franz Schubert  겨울나그네"中  
Winterreise D. 911

출처 : 가르멜산 성모 재속가르멜회
글쓴이 : 장미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