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터베리의 볼드윈 주교의 ‘삼종 기도’에서 | (Tract. 7: PL 204,477-478) |
이새의 뿌리에서 피어 오른 꽃, 우리가 참여하게 된 생명의 열매 |
예언자 이사야서에 의한 독서 | 11,1-16 |
제1독서 |
예언자 이사야서에 의한 독서-- 이새의 뿌리, 하느님 백성의 남은 자가 되돌아오다. |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1 이새의 그루터기에서 햇순이 나오고 그 뿌리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2 주님의 영이 그 위에 내린다. 지혜와 슬기를 주는 영, 경륜과 용기를 주는 영, 주님을 알게 하고 그를 두려워하게 하는 영이 내린다. 3 그는 주님을 두려워하는 것으로 기쁨을 삼아 겉만 보고 재판하지 아니하고 말만 듣고 시비를 가리지 아니하리라. 4 가난한 자들의 재판을 정당하게 해주고 흙에 묻혀 사는 천민의 시비를 바로 가려 주리라. 그의 말은 몽치가 되어 잔인한 자를 치고 그의 입김은 무도한 자를 죽이리라. 5 그는 정의로 허리를 동이고 성실로 띠를 띠리라. 6 늑대가 새끼 양과 어울리고 표범이 숫염소와 함께 뒹굴며 새끼 사자와 송아지가 함께 풀을 뜯으리니 어린아이가 그들을 몰고 다니리라. 7 암소와 곰이 친구가 되어 그 새끼들이 함께 뒹굴고 사자가 소처럼 여물을 먹으리라. 8 젖먹이가 살모사의 굴에서 장난하고 젖뗀 어린 아기가 독사의 굴에 겁 없이 손을 넣으리라. 9 나의 거룩한 산 어디를 가나 서로 해치거나 죽이는 일이 다시는 없으리라. 바다에 물이 넘실거리듯 땅에는 주님을 아는 지식이 차고 넘치리라. 10 그날, 이새의 뿌리에서 돋아난 새싹은 만민이 쳐다볼 깃발이 되리라. 모든 민족이 그에게 찾아 들고 그가 있는 곳에서 영광이 빛나리라. 11 그날, 주께서 다시 손을 드시어 그의 남은 백성을 되찾아 오시리라. 아시리아, 이집트, 바드로스, 에티오피아, 엘람, 바빌론, 하맛과 바다에 있는 여러 섬에서 되찾아 오시리라. 12 주께서 모든 민족을 향하여 깃발을 드시고 이스라엘에서 흩어진 자들까지도 불러들이시며 유다에서 쫓겨난 자들을 땅의 구석구석에서 모으시리라. 13 에브라임은 질투를 버리고 유다는 적개심을 끊으리니 에브라임은 유다를 질투하지 아니하고 유다는 에브라임을 원수로 여기지 아니하리라. 14 그들은 함께 서쪽 불레셋 언덕을 덮치고 동쪽에 사는 사람들을 약탈하리라. 에돔과 모압은 그들의 손에 휘어 잡히고 암몬 백성들은 굴복하리라. 15 주께서 열풍을 일으켜 이집트 바다의 물목을 말리시고 손으로 유프라테스강을 쳐 일곱 줄기로 가르시어 신을 신은 채 건너오게 하시리라. 16 이스라엘이 이집트에서 올라오던 때처럼 아시리아에서 살아 남은 당신의 백성이 돌아올 큰 길이 트이리라. |
![]() |
제2독서 |
(캔터베리의 볼드윈 주교의 ‘삼종 기도’에서) 이새의 뿌리에서 피어 오른 꽃, 우리가 참여하게 된 생명의 열매 |
우리는 매일 지극히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가브리엘 천사의 말씀을 빌어 경건히 인사 드릴 때 “태중의 아들 또한 복되시도다.”라고 덧붙입니다. 이 말씀은 엘리사벳이 동정녀의 인사를 받았을 때 답례한 인사의 말입니다. 복음에 나오는 이야기를 보면 엘리사벳은 동정 마리아의 문안을 받을 때 가브리엘 천사의 인사를 반향하듯 이렇게 인사했습니다. “여인 중에 가장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또한 복되십니다.” 이 “태중의 아들”, “태중의 열매”는 이사야가 말한 그 열매입니다. “그날에는, 주께서 돋게 하신 싹이 살아 남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영예로울 것이며 땅에서 나는 열매가 자랑스럽고 소중하리라.” 이 열매란 성서가 말해 주는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분, 아브라함의 후손, 주님의 싹, 이새의 뿌리에서 피어 오른 꽃, 그리고 우리가 참여하게 된 생명의 열매가 아니겠습니까? 아브라함의 후손인 그리스도는 육신에 따라 다윗의 가문에서 태어나셨습니다. 그분은 씨앗으로 계실 때 복되시고 싹으로 돋아나실 때 복되시며 꽃으로 피어나실 때 복되시고 열매로 맺어지실 때 복되시며 마침내 감사의 찬미를 바치는 가운데 복되십니다. 사람들 중에 그분 홀로 모든 면에서 완성된 분이십니다. 하느님의 모든 정의를 그분 홀로 이루시도록 그분께 영이 한없이 부어졌습니다. 성서에 기록되어 있는 대로 그분의 정의는 모든 민족에게 넘쳐흐릅니다. “땅에서 새싹이 돋아나듯 동산에 뿌린 씨가 움트듯 주 하느님께서는 만백성이 보는 앞에서 정의가 서고 찬양이 넘쳐흐르게 하시리라.” 이분이야말로 축복을 받아 다 자랄 때 영광의 꽃으로 장식되는 정의의 싹이십니다. 이 꽃의 영광은 얼마나 큽니까? 그것은 한없는 영광이고 그보다 더 큰 것은 아무도 상상조차 못하는 그런 영광입니다. 이 꽃은 이새의 뿌리에서 솟아오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얼마나 높이” 솟아오릅니까? 가장 높은 데까지 솟아오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 아버지의 영광 안에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의 위엄은 하늘 위까지 드높여져 찬란하고 영광스러운 주님의 씨앗과 땅의 고귀한 열매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이 열매 즉 태중의 아들에게서 얻는 이익이 무엇입니까? 복된 열매, 이 태중의 복된 아들에게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이란 축복이 아니면 또 무엇이겠습니까? 그렇습니다. 축복의 열매는 이 싹과 이 꽃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에게까지 도달했습니다. 먼저 용서의 은총을 받을 때 씨앗처럼 뿌려지고 은총이 자라남에 따라 싹으로 돋아나고, 끝으로, 희망 속에 영광을 받을 때 꽃피우게 되었습니다. 태중의 아들은 하느님에게서, 하느님 안에서 축복 받아 하느님께서는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되셨습니다. 우리들도 하느님께로부터 축복을 받아 그 아들 안에서 영광 받을 수 있도록 그 아들은 우리를 위해 축복 받으셨습니다.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대로 하느님께서는 그분에게 뭇 백성들의 축복을 주셨습니다. |
마침기도 |
기도합시다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보이지 않는 보화를 마련하신 천주여, 우리 마음에 주를 사랑하는 정을 일으키시어, 언제나 어디서나 주를 만유 위에 사랑함으로써 모든 소망을 초월하는 주의 상급을 받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골롬바노 아빠스의 ‘지침서’에서)주여, 당신은 하느님이시고 우리에게 모든 것이 되십니다. (0) | 2022.08.25 |
---|---|
(성 암브로시오 주교의 ‘시편 주해’에서)하느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자는 한 분뿐이신데 그분이 바로 그리스도이십니다 (0) | 2022.08.19 |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의 강론에서)“끝까지 참는 사람은 구원을 받으리라.” (0) | 2022.08.17 |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의 ‘동정 성모께 대한 찬가’에서)지존께서는 마리아를 영원으로부터 선택하시고 마련해 주시고 성조들이 예시해 주셨다. (0) | 2022.08.16 |
(교황 비오 12세의 교황령 ‘지극히 인자하신 하느님’에서)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육신은 거룩하고 영광스럽도다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