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움 과 비움 /독서
윤태규의 《우리 아이들, 안녕한가요》 교실의 날씨
하느님의 어린양
2023. 9. 26. 08:13
교실의 날씨
교실에서 아이들과
함께하고 계시는 선생님은 아이들 가슴속에 북극성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하임 기너트의 '교실을 구하는 열쇠'라는 책에서 "교사는 그날 교실의 날씨를 좌우한다. 흐리게도 맑게도." 대략 이런 뜻의 글을 읽은 기억이 있네요. - 윤태규의 《우리 아이들, 안녕한가요》 중에서 - * 날씨처럼 학교 교실도 늘 변화무쌍합니다. 그 중심에 선생님이 있습니다. 선생님의 말, 표정, 시선에 따라 폭풍도 일고 번개도 칩니다 그러다가 어느 날 한 아이의 가슴에 북극성이 뜨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 북극성이 인생의 목표, 내면의 나침판이 되어 아이의 미래를 이끕니다. 아이의 가슴에 북극성을 찍어주는 것, 선생님의 고귀한 역할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대구 어느 초등학교의 교장인 윤태규는 더 이상 교실에서 아이들과 만날 수 없었기 때문에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았다. 그는 아이들과 만남의 장소로 교문을 선택하였고, 매일 아침 등교하는 아이들과 눈 맞추고 인사를 건넸다. 아이들과의 만남에 대한 갈증은 풀렸지만, 혹시 자신의 ‘마중’이 아이들과 다른 교사들에게 ‘감시’로 비칠까봐 염려한 그는 인터넷 편지를 통해 교실에 있는 교사, 아이들과 하루도 빠짐없이 소통하기 시작했다. 『우리 아이들, 안녕한가요』는 바로 그 교장선생님의 ‘아침편지’를 모아 엮은 책이다. 그의 아침편지는 날씨 이야기로 시작해서 오늘도 아이들과 재미있게 지내라는 격려의 말씀이었고, 아이들과 눈 맞추고, 아이들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주라는 당부의 말씀이었다. 그런 그의 아침편지는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가서도, 정년퇴임을 하는 그날까지도 계속되었다.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자란 누구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실천적인 대답이 될 것이다. |
저자(글) 윤태규저자 윤태규는 1950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안동교육대학을 나왔고, 1972년부터 2014년까지 42년 6개월을 대구와 경북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냈다. 선생과 학생은 담임 할 때 딱 1년 동안 맺는 계약 관계가 아니라, 평생 동안 사랑을 나누며 함께하는 삶을 살아가는 관계여야 한다는 마음으로 39살부터 제자들 주례를 서기 시작했으며, 교육신지식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아이들과 살아가는 교실 이야기를 동화로 써서 그동안 『아이쿠나 호랑이』 『신나는 교실』 『나뭇잎 교실』 『이상한 학교』 『입큰도사 손큰도사』 『내가 내가 잘났어』 『똥선생님』 『초대받은 마술사』 『도마뱀과 도마뱀』 같은 책을 냈으며, 교실 실천 기록으로 『일기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1학년 교실이야기』 『햇살 가득한 교실에서』 『내가 처음 쓴 일기』 들을 펴냈다. 지금은 더 많은 아이들과 더 재미있게 만날 날을 꿈꾸며 동화를 쓰고 있다 |
목차
출판사 서평출판사 리뷰
‘훈화’가 아닌 ‘소통’과 ‘격려’를 담은 교장샘의 아침편지 대구 어느 초등학교에 교장선생님 한 분이 계셨습니다. 그는 교장이 되었지만 행복하지 않았습니다. 더 이상 교실에서 아이들과 만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교육이란 아이들을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그에게, 교실이 아닌 교장실은 유배지나 다름없었던 것입니다. 교장선생님은 아이들과 만남의 장소로 교문을 선택했습니다. 아침마다 교문에서 아이들을 마중하기로 한 것이지요. 매일 아침 그는 등교하는 아이들 하나하나와 눈 맞추고 인사를 건네기 시작했습니다. 교문에서 아이들과 재미있는 놀이도 하고, 간단한 운동도 했습니다. 이제 아이들과의 만남에 대한 갈증은 조금씩 풀렸지만, 그에게는 새로운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혹여 자신의 ‘마중’이 아이들과 선생님들에게 ‘감시’나 ‘감독’으로 비칠까봐 염려했던 것입니다. 그 옛날 막대기를 둘러메고 교문을 지키던 학생주임이나 선도부처럼 말이지요. 교장선생님은 또 다른 방법을 생각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아침편지’였습니다. 아침마다 교실로 편지를 띄우기로 마음먹은 그는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인터넷 편지를 통해 교실에 있는 선생님, 아이들과 소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스피커를 통해 들려오는 ‘교장선생님의 훈화 말씀’이 아니었습니다. 날씨 이야기로 시작해서, 오늘도 아이들과 재미있게 지내시라는 격려 말씀이었습니다. 아이들과 눈 맞추고, 아이들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주라는 당부의 말씀이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아침편지’는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가서도, 정년퇴임을 하는 그날까지도 계속되었습니다. 이 책 『우리 아이들, 안녕한가요』는 바로 그 교장선생님의 ‘아침편지’를 모아 엮은 것입니다. 어린이날과 스승의 날을 맞아 출간된 이 책은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자란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실천적인 대답이 될 것입니다. 작품 내용 ‘학교의 주인은 아이들’이라는 믿음을 담은 편지글 모음 ‘날마다 교실로 띄우는 교장샘의 아침편지’ 중 일부를 모아 엮은 이 책은, 평생을 초등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부대끼며 살아온 교육자의 삶의 기록이며, 나아가서는 우리 교육 현실에 대한 보고서이다. ‘경쟁’보다는 ‘어울림’을 교육의 가치로 생각하는 저자는, 초등교육의 일차 목표는 ‘공부’가 아니라 ‘놀이0’에 있음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소통 칠판에 “여름방학 줄여 주세요. 친구들이 보고 싶어요.” 라는 글이 적혀 있네요. 생각 밖의 이 요구사항을 어떻게 생각하나요? 학교는 공부만 하는 곳이 아니라 동무들과 함께하는 즐거움이 더 큰 곳입니다. 아이들 삶에서 중심축은 ‘공부’가 아니라 ‘놀이’입니다. (2014. 7. 16) _본문 147쪽 또한 아이가 자기주도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예를 들어 등교할 때 준비물을 챙겨 오지 못한 아이가 집으로 전화를 걸자, 그 아이의 엄마가 “니가 챙기지 못했으니까, 니가 다시 와서 챙겨 가!”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크게 감탄하며 칭찬하는 식이다. 화창한 봄날입니다. 오늘 아침에 교문에서 저학년 남자아이가 준비물을 잊고 와서 내 전화기를 빌려 집으로 전화를 했어요. 그런데 전화 속에서 들려오는 어머니 목소리. “니가 준비를 못 챙겼으니까 니가 와서 가져가!” 그 소리 듣기 좋았습니다. 정말 제대로 하는 어머니구나! 준비물을 미처 챙기지 못한 아이가 다시 가서 챙겨 오는 게 옳고말고요. 백 번 맞지요. 손전화기 사 주지 않은 것도 칭찬할 일이고요. 준비물을 못 챙긴 게 마치 어머니 자신 잘못인 양 전화 받기 무섭게 부리나케 달려왔다면 그 아이가 비록 준비물 잘 챙겨 공부는 제대로 했을지 몰라도 스스로 제 앞가림을 하는 공부 기회는아깝게도 놓치고 말았겠지요. 전화 받고 당장 준비물을 갖다 줄 형편이 못 되는 부모들은 퀵서비스로라도 배달을 한다니 웃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2014. 3. 25) _본문 36쪽 또 어린이자치회의 결정사항을 뒷받침해 주도록 각 교실의 담임선생님들에게 신신당부를 하기도 한다. 그래야만 아이들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어제 오후 2층 회의실에서 있었던 전교어린이회의에서 중요한 게 하나 결정되었습니다. 자전거 타고 등하교하는 것은 좋은 점보다는 문제점이 더 많기 때문에 타지 않는 게 좋겠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교실에서 그 문제를 두고 깊이 있게 다루어 준 덕택에 참석 아이들이 토론을 아주 잘했습니다. 찬성 9 반대 10이라는 토론 결과가 말해 주듯이 팽팽한 접전이었습니다. 나름 논리도 잘 세워서 이야기했고, 반박도 제법 그럴듯했습니다. 상대편을 설득시키는 힘은 부족했지만 자기들의 주장을 지키기 위해 여러 가지 자료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중략) 4, 5, 6학년 회장단들 칭찬해 주세요. 모두가 학급 대표 자격으로는 물론 전교어린이회 개인 참가자 자격으로도 잘 해냈습니다. 학원 결석하면서까지 참가한 아이들입니다. 회의를 앞에서 이끈 전교회장단은 더욱 잘 해냈습니다. 아주 좋은 어린이회 자치 활동을 보았습니다. (중략) 이것이 자치이고, 참여이고, 민주스러운 삶입니다. 4월 첫날 아침, 오늘도 힘차게 시작합시다. (2011. 4. 1) _본문 43쪽 그의 ‘아침편지’에는 날씨 이야기, 꽃과 나무와 풀 이야기, 학교 현안 이야기, 자신의 하루 일과 등 다양한 이야기가 들어 있지만, 마지막에는 언제나 “오늘 하루도 아이들과 재미있게 보내세요.” “오늘도 아이들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주면서 즐겁게 지내세요.”와 같은 당부의 말로 끝을 맺는다. 우리는, 학교의 주인은 아이들이라고 말하는 교장선생님에게서 우리 교육의 희망을 본다. 교실에서 칠판만 쳐다보는 아이보다는 가끔 창밖을 바라볼 줄도 줄 아는 아이로 키우려는 그에게서 우리 사회의 미래를 본다. 교실보다는 운동장이 아이들에게는 더 소중한 공간이며, 자연 속으로 아이들을 내몰아도 좋다는 그의 교육 철학에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펼치기
|